손주를 돌봐주는 조부모님이라면 매월 최대 3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청하지 않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고, 늦게 신청하면 소급 적용도 불가능합니다.
매년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조부모 돌봄수당 지역이 확대되고 있지만 이 사실을 몰라서 못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2025년에는 어떤 변화가 있고,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신청하셔서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조부모 돌봄수당 신청 방법
조부모 돌봄수당은 맞벌이 가정의 육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조부모 또는 친인척이 일정 시간 이상
손주를 돌보는 경우 지급되는 정부
지원금입니다.
특별한 자격증이 필요하지 않아 돌봄을 하는 가족이라면 누구나 신청가능합니다.
✅ 신청 대상
- 손주(만 24개월~48개월 이하)를 돌보는 조부모 또는 4촌 이내 친인척
- 부모가 맞벌이 또는 육아 공백이 있는 가정
- 일정 시간 이상(예: 월 40시간 이상) 돌봄 제공
✅ 지급 금액
- 최대 월 30만 원 (지역별로 차이 있음)
✅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거주 지역의 복지
사이트 또는 정부24
2️⃣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청 후 심사를 거쳐 매월 지정 계좌로 지급됩니다.
지역별 조부모 돌봄수당 지원금
📍 거주 지역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다릅니다. 내 지역 지원금 확인 필수!
지역 | 지급 금액 | 신청 조건 | 신청 방법 |
---|---|---|---|
서울특별시 | 월 30만 원 | 6개월 이상 거주,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 서울시 몽땅정보 만능키 |
경기도 | 첫째 30만 원, 둘째 이상 45만 원 | 부모와 조부모 모두 경기도 거주 | 경기도 이이돌봄 |
부산광역시 | 월 30만 원 | 만 24개월 이상~36개월 이하 아동 돌봄 제공 | 부산시 부모급여신청 |
대구광역시 | 월 30만 원 | 맞벌이 가정, 중위소득 150% 이하 | 대구시 지원금 안내 |
광주광역시 | 종일 돌봄(8시간 이상) 30만 원, 시간제 돌봄 20만 원 | 맞벌이 가정 필수 | 광주시 아이키움 |
울산광역시 | 한달 40시간 30만 원, 시간제 돌봄 20만 원 | 가계소득기준 중위150% | 울산시 복지로 |
경상남도 | 한달 40시간 20만 원, 시간제 돌봄 20만 원 | 소득기준 중위150% | 경상남도 복지로 |
이 외에도 계속 지역이 추가되고 있으니 아래에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지역 신청을 확인해보세요.
다른 지역 신청조회👆
조부모 돌봄수당 FAQ (자주 묻는 질문)
💡
Q1. 조부모 돌봄수당은 언제 신청해야
하나요?
✅ 매월 1일~10일 사이 신청 가능 (지역별
차이 있음)
💡
Q2. 손주가 5살인데 신청 가능한가요?
✅ 대부분
만 24개월~48개월 이하 아동에게
지급됩니다.
💡
Q3. 조부모가 맞벌이해도 받을 수 있나요?
✅
조부모가 맞벌이를 하면 신청할 수
없습니다.
손주를 실제로 돌봐야 하며,
월 40시간 이상 돌봄이 필요합니다.
💡
Q4. 손주가 둘 이상이면 어떻게 되나요?
✅
둘째 아이부터 추가 지원이
가능하며, 경기도는 최대 월 45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Q5. 신청 후 언제부터 지급되나요?
✅ 심사 후
익월부터 매월 지정 계좌로 지급됩니다.
조부모 돌봄수당, 왜 지금 신청해야 할까?
🚨 신청 기한을 놓치면 받을 수 없습니다!
돌봄을 하고 있더라도
소급 적용이 불가능하니,
최대한 빨리 신청해야 손해 보지
않습니다.
✔ 맞벌이 가정의 육아 부담 경감
✔
조부모님의 경제적 보상으로 생활비 부담
완화
✔
세대 간 유대감 강화, 가족 관계 향상
조부모님이 손주를 돌보고 계신다면
신청 안 하면 100% 손해입니다!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으니, 기한 내 신청
필수!
조부모 돌봄수당 신청 필수 체크리스트
✅ 내가 신청 대상인지 확인하기
✅
내 지역의 지원금 금액 & 조건
확인하기
✅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 방문해 신청하기
출산과 육아는 가족 모두의 노력으로
이루어집니다.
조부모님의 사랑과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꼭 챙기세요! 😊